울산 철새홍보관에서 만나는 철새 이야기

Last Updated :
울산 철새홍보관에서 만나는 철새 이야기

울산 철새홍보관에서 만나는 철새 이야기

울산 십리대숲 일대에서는 요즘 여름철새인 백로와 왜가리들이 자주 목격되고 있습니다. 이는 울산이 산업도시에서 생태관광도시로 변모하며 철새들이 머무르기에 최적의 환경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철새들의 생태와 울산의 자연환경에 대해 깊이 알고 싶다면 울산 남구 눌재로 24에 위치한 울산 철새홍보관 방문을 권합니다. 철새홍보관은 절기에 따라 운영시간이 달라지며, 동절기에는 떼까마귀 군무 관람을 위해 한 시간 연장 운영됩니다.

운영시간시간
하절기 (4월~10월)09:00~18:00
동절기 (11월~3월)10:00~19:00
휴무일매주 월요일

주차장도 마련되어 있어 차량 이용객은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습니다. 주차장 입구에서는 직원 확인 후 차단기가 열립니다.

1층 철새교육장

입구에 들어서면 천장에 매달린 떼까마귀 군무 모형과 백로들이 여유롭게 쉬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1층은 철새교육장으로, 철새에 관한 전반적인 안내와 다양한 체험활동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특히 반구대 학 암각화에 새겨진 학의 모습을 재현해 놓아 울산 철새의 역사적 의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아이들을 위한 디폼블럭 체험에서는 새 피리 목걸이, 쇠백로, 떼까마귀 등을 직접 만들어 볼 수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인기가 높습니다.

또한 울산의 명소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부스가 마련되어 있어 방문 기념 촬영이 가능합니다. 촬영한 사진은 휴대폰으로 전송받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2층 철새전시장과 춤 체험

2층에는 철새전시장과 철새의 춤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있습니다. 방문객들은 모니터 앞에서 울산 전통춤인 학춤을 따라 추며 모션인식으로 점수를 받는 재미있는 체험을 할 수 있습니다. 전통 의상인 흰 두루마기와 검정 갓을 착용하면 더욱 몰입감 있는 경험이 가능합니다.

전시장에서는 울산이 공업도시에서 환경도시로 변화한 과정과 삼호대숲의 생태계에 대해 상세히 소개하고 있습니다. 터치스크린을 통해 삼호대숲에 서식하는 동식물과 대숲의 특징을 사진과 함께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여름철새인 백로와 겨울철새인 떼까마귀의 생태를 배운 후에는 OX 퀴즈로 지식을 점검하는 시간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3층 5D 영상관과 VR 체험관

3층에는 유료 체험 시설인 5D 영상관과 VR 체험관이 있습니다. 티켓은 1층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성인과 어린이 요금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구분VR 체험관5D 영상관
성인2,000원1,500원
어린이1,000원700원

VR 체험관에서는 VR 기어를 착용하고 철새의 비행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습니다. 대숲을 날아다니는 철새들을 다양한 시선으로 관찰할 수 있어 현장감이 뛰어납니다.

또한 철새 그림을 색칠하고 스캔하면 대형 스크린에 나타나는 라이브 스케치 공간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5D 영상관에서는 5D 안경을 착용하고 철새들이 울산을 찾아오는 여정을 애니메이션으로 감상할 수 있습니다. 의자가 움직이고 바람이 불어오는 등 몰입감 높은 체험이 가능합니다.

4층 차사발 갤러리 & 카페

4층에는 전통차와 커피, 음료를 즐길 수 있는 차사발 갤러리 & 카페가 있습니다. 다양한 차 사발 전시도 함께 감상할 수 있어 관람 후 여유로운 휴식을 취하기에 적합합니다.

5층 철새전망대

마지막으로 5층 철새전망대에서는 망원경 3대를 통해 백로 등 철새들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을 위한 계단도 마련되어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대숲에서 쉬거나 먹이를 찾는 백로들의 모습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며, 철새홍보관에서 배운 지식이 더해져 더욱 친근하게 느껴집니다.

울산 철새홍보관은 여름철새인 왜가리, 중대백로, 쇠백로 등 다양한 철새를 관찰하고 배우기에 최적의 장소입니다. 가족과 함께 방문하여 철새 생태를 체험하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시길 추천합니다.

울산 철새홍보관
울산광역시 남구 눌재로 24

울산 철새홍보관에서 만나는 철새 이야기
울산 철새홍보관에서 만나는 철새 이야기
울산 철새홍보관에서 만나는 철새 이야기 | 울산진 : https://ulsanzine.com/3626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울산진 © ulsan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