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정화설비 지하역사에 하루 1천만 명 지원!
정부의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 발표
정부가 추진하는 제5차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은 전국의 지하역사에서 하루 평균 약 1000만명이 이용하는 공간의 공기질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번 계획은 기후변화와 실내공기질의 상호연관성을 고려하여 2025년부터 2029년까지의 중장기 목표를 설정한 법정계획입니다. 관계부처는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조사와 자문을 통해 이번 정책을 마련하였습니다. 과거의 제4차 계획에서 실내공기질이 개선된 성과를 반영하여, 보다 선진화된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민감계층 이용시설 보호 및 온실가스 감축
이상기후에 영향을 많이 받는 민감계층이 이용하는 시설 통합 관리가 중요합니다. 이번 계획에서는 특히 어린이집과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 진단과 개선을 위한 사업을 확대하는 방안을 소개합니다. 이를 통해 공기정화설비의 설치와 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실내환경을 개선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도 강화할 예정입니다.
- 기후변화에 따른 민감계층의 이용시설에 대한 보호 조치
- 공기정화설비의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 차세대 기술을 활용한 실내공기질 관리 시스템 구축
국민생활공간 맞춤형 관리 체계 구축
국민생활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번 계획에서는 지하역사와 조리공간 등 다양한 국민생활공간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내공기질 관리 정보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정보는 에어코리아와 연계해 국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며, 조리공간에 대해서도 체계적인 관리 체계를 마련할 것입니다.
실내공기질 관련 산업 지원
실내공기질 관련 산업의 지원 증가가 기대됩니다. 정부는 해외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관련 기업들을 위해 간담회를 정례화하고, 정보 교류를 통한 소통망 형성을 도울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실내공기질 공기정화설비 등에 대한 국제 표준을 수립하여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것입니다.
실내공기질 관리의 국제협력 확대
아시아 국가들과의 실내공기질 관리 협의체 협력이 중요합니다. 정부는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실내공기질 관리 분야의 기술적 발전을 모색하고, 유엔 관련 기관과의 협력을 이어가며 연구 및 정책 개발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실질적인 생활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것입니다.
제5차 기본계획 추진체계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실내공기질 관리 | 실내 미세먼지 및 오염 물질 농도 저감 | 국민 건강 보호 및 생활환경 개선 |
안전한 공간 제공을 위한 정책 개선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오일영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국민이 안전하고 상쾌하게 숨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기후변화에 발맞춘 정책을 선진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지속적으로 관련 산업의 발전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정책 뉴스 및 문의
정책 브리핑에서는 정부의 주요 정책과 관련된 뉴스를 제공합니다. 직접적인 문의는 환경부 생활환경과로 하시면 더 많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는 044-201-6798입니다.
환경부의 지속적인 노력
정부는 향후에도 실내공기질의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모든 국민이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정책을 발전시킬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