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공직자 취업심사 대상기관 89개 급증 2만 3천!

Last Updated :

취업심사 대상기관의 변동 사항

공직자가 퇴직 후 취업심사를 받아야 하는 대상기관이 늘어났다. 내년에는 올해의 2만 3259개보다 89개 증가하여 총 2만 3348개로 결정되었다. 인사혁신처는 2025년도 취업심사 대상기관을 확정하고 이를 관보에 게시하였으며, 영리, 비영리, 특정 분야의 다양한 기관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취업심사는 공직자의 윤리성을 높이고, 공공의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절차이다. 이번 변화는 정부가 비리나 부패 예방을 위해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할 것을 의미한다. 공직자들은 이러한 기관에서의 취업 시 취업심사를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며, 이는 퇴직 후의 경직성과 연결된다.

영리 분야 취업심사 대상기관

영리 분야의 대상기관 수가 증가하여 1만 8991개에 달한다. 영리 사기업체는 올해보다 87개 증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영리 사기업체가 1만 8667개, 법무법인 61개, 회계법인 78개, 세무법인 180개가 포함된다. 영리 사기업체의 조건으로는 자본금 10억 원 이상 및 연간 외형거래액 100억 원 이상인 경우가 준수되어야 하며, 법무·회계·외국법자문법률사무소는 연간 외형거래액이 100억 원 이상이어야 한다. 이러한 기준은 공직자가 퇴직 후 영리 기업으로 이직할 때의 윤리적 기준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 영리사기업체: 자본금 기준 이상인 기업체
  • 법무법인: 연간 외형거래액 100억 원 이상
  • 회계법인 및 세무법인: 각자의 연간 외형거래액 기준

비영리 분야 취업심사 대상기관

비영리 분야의 대상기관 수는 총 4133개로 확인되었다. 여기에는 시장형 공기업 14개, 안전 감독 및 인허가, 조달 분야의 공직 유관 단체 223개, 사립학교 3168개, 종합병원 528개, 사회복지법인 200개가 포함된다. 비영리 기관은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 분야의 취업심사는 공직자의 후속 활동에 대해 보다 투명성을 요구하는 취지가 있다. 이에 따라 퇴직 후 공직자들이 특정 비영리 기관으로 이직할 경우 지나치게 관치적인 영향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것이 주 목표이다.

특정 분야 취업심사 대상기관

특정 분야의 대상기관 수는 소폭 감소하여 224개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특정 분야는 방위 산업 분야 53개 및 국민 안전 분야 171개로 구성된다. 이들 기관은 국가의 중대한 공공 이익을 담당하는 만큼, 공직자가 이들 분야로 진출할 경우 더욱 엄격한 검토가 요구된다. 특히 방위 산업 분야는 국가의 안보와 직결되는 만큼, 해당 기관에서의 취업심사는 공직자의 윤리 및 도덕적 권리도 깊이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취업 심사를 통해 공공의 안전과 안보가 보다 강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취업심사 대상기관 명단 확인 방법

자세한 취업심사 대상기관 명단은 여러 경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대한민국 전자관보(gwanbo.go.kr), 공직윤리시스템(www.peti.go.kr), 인사혁신처 누리집(www.mpm.go.kr) 등에서 모든 취업심사 대상기관의 구체적인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공직자 및 관련 기관들이 필요한 정보를 쉽게 접근하고 판별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공직자들은 퇴직 후의 경로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문의 사항이 있는 경우 인사혁신처 윤리복무국 취업심사과(044-201-8481)로 연락하면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주요 기관의 연락처 및 유의사항

공직자가 퇴직 후 취업 심사를 받기 위해 알아야 할 유의사항과 연락처 정보를 제공한다. 인사혁신처의 윤리복무국 취업심사과는 044-201-8481로 문의할 수 있으며, 이 부서에서는 각종 문의와 정보를 제공한다. 퇴직 공직자는 반드시 해당 기관과 소통하여 자신의 상황에 맞는 심사 절차를 미리 이해하고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각종 법규와 윤리 규정이 엄격히 적용되므로, 필요한 정보는 항상 사전 확인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취업 후의 불이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책브리핑을 통한 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음을 명심하자.

법규 및 지침 이해하기

공직자의 취업 심사에 관련된 법규와 지침을 철저히 이해해야 한다. 공직자 윤리에 관한 다양한 법규는 공직자의 퇴직 후 경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관련 법규와 지침을 꼼꼼히 읽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 법률의 적용 범위를 알고, 무엇이 요구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해야 취업 심사의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세미나나 워크숍에 참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며,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 또한 추천된다.

양성 교육 참여하기

퇴직 후 취업심사에 대비해 양성 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권장된다. 취업 심사 준비를 위해 관련 문제에 대한 지식 및 자격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공직자는 윤리 및 법적으로 취업 시 필요한 조건을 충족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특히 새로운 기준이나 변화하는 법규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다. 다양한 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더 나은 준비를 위해 필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최종 워크숍 참여하기

퇴직 후 취업심사 준비를 위한 최종 워크숍에 참여해야 한다. 이러한 워크숍은 공직자가 퇴직 후 진로를 설정하는 데 미리 적용할 구체적인 전략을 개발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해당 심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질문과 이슈를 사전에 파악하고 준비함으로써 보다 나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문가의 조언을 듣고 직접적인 경험담을 들을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 될 것이다.

퇴직공직자 취업심사 대상기관 89개 급증 2만 3천!
퇴직공직자 취업심사 대상기관 89개 급증 2만 3천! | 울산진 : https://ulsanzine.com/2931
울산진 © ulsan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